포항 해맞이광장
새파란 바닷길 산책로를 따라서----
깊은 여명이 밝아오고 해무가 뽀얗게 걷히면 새파란 하늘이 끝닿은 바닷가. 한반도에서 제일 먼저 해가 뜨는 호미곶의 아침은 청아하다. 해맞이 광장에 장엄한 손 모양의 조형물은 육지와 바다에서 각각 하늘을 향해 손을 벌리고 우뚝 서서 서로 상생하기 위한 손짓을 하고 있다.
이른 시간임에도 벌써 해맞이 광장에는 인파가 적지 않다. 호미곶은 포항 영일만 장기반도 동쪽 끝에 위치한 한반도 호랑이 모양의 꼬리 쪽에 해당한다. 예로부터 호미곶(虎尾串)이라 불렀으며 해가 제일 일찍 뜨는 곳이기도 하다. 해파랑길의 15번째 코스(해파랑길-동해안을 따라 50개 구간으로 나누어 부산 오륙도 공원길부터 통일전망대까지 이르는 해안도로 770km에 이르는 트레킹 코-스)를 따라 휠체어를 타고 달리며 맑고 깨끗한 가을의 정취를 가득 느껴 본다.
아내가 밀어주는 휠체어에 앉아 햇살에 부서지는 파도의 물비늘을 카메라에 담느라 여념이 없었다. 해맞이 광장에서 독수리 바위까지 왕복 약 6km의 해파랑길을 걸었다. 4륜 바이크에 연결된 깡통 열차를 타고 가던 사람들이 우리 부부를 보고 손을 흔들며 환호를 한다. 아내도 즐거운지 발걸음 가볍게 신이 났다. 마음 같아서는 동해안 끝까지 해파랑 길을 달리고 싶었다.
이곳은 우리나라에서 장애인들이 휠체어로 해안길을 이동하기 좋은 길 중 한 곳이며 해안선 바다 풍경이 맑고 깨끗하기로 손 꼽는 지역 중 하나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과거 겨울철에는 넘쳐나던 청어와 학꽁치를 버릴수 없어 햇볕에 말려 갈무리하여 두고두고 먹었던 과메기가 이곳 포항의 명물이 되었다. 지금은 말린 꽁치 과메기를 전국에 판매하여 더욱더 유명해졌다.
또한, 포항에서 약 70km 거리에 위치한 강구항은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대게 주산지로 유명하다. 사람들이 영덕게라 부르는 대게의 집하지가 이곳 강구항이다. 대게가 먹고 싶다면 바로 이곳을 찾아야 제격이다. 대게 음식집만 무려 3km 가까이 즐비하다. 대개를 먹고 나서 완만한 바닷길을 오르면 해파랑 공원에 대게 조형물과 끝없이 펼쳐진 바닷가 수평선은 가슴을 후련하게 한다. 모든 길과 시설이 무장애 시설이다. 휠체어가 다닐 수 있는 데크로 연결된 언덕길을 오르면 푸른 바다가 하늘과 끝닿아 새파란 수평선이 아른거린다.
한 가지 안타까운 것은 장애인들에게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아쉬움으로 남는다.
볼거리
새천년기념관-포항의 모든 것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실과 바다 화석박물관, 영상, 세미나실, 시청각실, 공예, 체험실, 전망대가 있으며,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입장료:장애인(복지감면대상자)무료/관람시간:09~18시까지/월요일휴관
해맞이광장-평소에도 사람들이 한반도에서 해가 제일 먼저 뜨는 이곳을 찾아 일출을 맞이하지만, 매년 1월 1일 새해맞이 축제가 열려 많은 사람이 인산인해를 이루기도 한다.
상생의 손-해맞이 광장에 위치한 바다와 육지에 각각 거대한 손 모형이 하늘을 향해 벌리고 있고, 바다와 육지를 통해 화합하는 의미를 가진 조형물은 해맞이 광장을 대표한다.
등대박물관-우리나라 초기 등대와 등대의 역사 그리고 관련 전시물과 선박의 변천사, 바다 생물 표본 등을 볼 수 있으며, 어린이 시청각 교육에 큰 가치가 있다.
입장료:무료/관람시간: 09~18시까지
호미곶등대-우리나라 등대 중 최대 규모의 등대라고 한다. 조선 고종 광무 7년(1903) 12월에 건립된 팔각형의 근대식 건축양식으로 높이가 26.4m이며 둘레는 밑부분 24m, 윗부분 17m이다. 특히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벽돌로만 지은 건물로 등탑 내부 천장에는 조선 상징인 오얏꽃 모양의 문장이 조각되어 있어 매우 높은 문화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해파랑공원-해파랑공원은 호미곶에서 약 80km 거리에 위치한 강구에 있다. 이곳은 영덕대게라 불리우는 대나무같이 길다고 해서 부르는 대게의 본고장이다. 강구항은 대게 요리전문점이 무려 3km의 길이로 즐비하게 이어져 있을 만큼 성행을 이룬다. 10월 하순부터 이듬해 4월까지 제철이다. 바다를 메꾸어 만든 해파랑공원의 넓은 언덕은 무장애 데크 시설로 이루어져 있다. 장애인에게 바다를 제대로 구경하려면 꼭 이곳을 추천한다.
특산물-지역 특산물로는 과메기, 대게, 문어 등이 유명하다.
편의시설-해변에는 무장애 데크길로 조성되어 있으며, 장애인화장실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도 블록도 꼼꼼히 설치되어 있다.
장애인 주차시설도 별도로 조성되어 있다.
장애인화장실-해맞이광장 주변에 장애인화장실이 주차장 옆에 마련되어 있고, 새천년기념관에도 장애인화장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광장 건너 등대박물관에도 무장애 편의시설과 화장실이 잘 조성되어 있다.
장애인주차장-장애인 주차시설은 해맞이 광장 주차장을 비롯해 등대박물관에도 충분히 조성되어 있어 주차에는 무리가 없어 보였다.
찾아가는 길-서울=포항(해맞이광장/371km/4시간46분소요)
승용차:영동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상주영천고속도로→포항→호미곶 해맞이광장.
문의 및 안내
호미곶광장(새천년기념관 내) 054-270-5855
포항시관광홈페이지 : http://phtour.pohang.go.kr
입장료:없음
개방시간:24시간
주소: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해맞이로150번길 20
'내가 살아가는 이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유교와 한강 풍경 (0) | 2019.11.06 |
---|---|
뚜야의 편지 (0) | 2019.11.06 |
해운대 아침 (0) | 2019.10.21 |
봄 같은 가을 (0) | 2019.10.06 |
렌섬웨어 바이러스 감염 이후 이야기 (0) | 2019.10.06 |